상품명 | 화장품산업 주요 트렌드 및 기술개발 동향 |
---|---|
판매가 | 180,000원 |
국내·해외배송 | 국내배송 |
배송방법 | 상품별상이 |
배송비 | 3,100원 (30,000원 이상 구매 시 무료) |
SNS 상품홍보 | ![]() ![]() |
---|
![]() |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명 | 상품수 | 가격 |
---|---|---|
화장품산업 주요 트렌드 및 기술개발 동향 |
![]() ![]() |
180000 ( |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할인가가 적용된 최종 결제예정금액은 주문 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구분 연구개발
저자 윤한술
제작 (주)코스인
페이지 102페이지
제작연도 2018년 12월
판매가격 330,000원
형태 편집인쇄된 단행본
■ 리포트 개요
이 리포트는 화장품 산업의 주요 트렌드 전망과 화장품 기술개발 동향, 화장품 기술개발 유망 테마를 정리했다. 화장품 산업 주요 트렌드 전망은 사회/문화(Society) 영역의 트렌드와 화장품 시장 영향, 기술/과학(Technology) 영역의 트렌드와 화장품 시장 영향, 경제/산업(Economy) 영역의 트렌드와 화장품 시장 영향, 생태환경(Ecology) 영역의 트렌드와 화장품 시장 영향, 정치/법규(Political/Legal) 영역의 트렌드와 화장품 시장 영향을 분석했다.
화장품 기술개발 동향은 화장품 기술개발 동향 분석과 화장품 주요 기술의 특허동향 분석, 화장품 기술동향에 대한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분석, 화장품 시장 주요 변화와 기술에의 파급영향 등을 분석했다. 우선 화장품 기술개발 동향 분석에는 화장품 기술개발 동향의 개관, 피부과학 기초연구 관련 주요 트렌드와 선진 기술동향, 소재기술 관련 주요 트렌드와 선진 기술동향, 제형기술 관련 주요 트렌드와 선진 기술동향, 평가기술 관련 주요 트렌드와 선진 기술동향, 용기와 용품기술 관련 주요 트렌드와 선진 기술동향, 기술융복합화 관련 주요 트렌드와 선진 기술동향 등을 분석했다.
화장품 주요 기술의 특허동향 분석은 화장품 특허 출원 동향과 화장품 부상하는 기술 도출했다. 화장품 기술동향에 대한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분석은 화장품 기술 분야별 중요도와 기술수준 평가(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기술 분야별 비교)와 화장품 시장 주요 변화와 기술에의 파급영향 등을 분석했다. 이는 인구고령화에 따른 노화방지와 시니어 케어 시장의 확대, 친환경과 안전 이슈 강화로 천연 소재와 화장품 수요 증가, 융복합 기술을 통한 신개념 화장품 수요 증가, 글로벌 시장 진출의 기회와 경쟁 강도 증가, 중국의 화장품 시장 영향력 증대, 판매대상 다양화와 개인맞춤형 소비 증가, 감성과 브랜드 소비 성향 증대, 가격과 고기능, 편의성 등 합리적 소비성향 증대 등이 포함된다.
‘화장품 기술개발 동향’ 분석 결과를 화장품 기술의 최신 동향 분석, 화장품 주요 기술의 특허동향 분석, 화장품 기술동향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등으로 정리했다.
화장품 기술개발 유망 테마는 중점 연구 영역 4가지를 분석했다. 중점 연구 영역 1 : 피부과학 원천기술 연구 영역이며, 중점 연구 영역 2 : 신소재개발 연구 영역으로 천연과 합성 신소재 연구와 바이오 공정 신소재 합성 연구 등이다. 중점 연구 영역 3 : 제품화 연구 영역으로 신제형 기술연구와 글로벌 표준 평가기술 연구, 신기능 감성 디자인 용기·용품 연구 등이다. 중점 연구 영역 4 : 융복합 연구 영역으로 미래 신기술 융합연구와 인접산업 융합연구 등이다.
■ 목차
제1장 화장품산업 주요 트렌드 및 전망
0. 화장품산업 환경의 주요 트렌드 및 전망 개관
1. 사회/문화(Society)영역의 트렌드 및 화장품시장 영향
2. 기술/과학(Technology)영역의 트렌드 및 화장품시장 영향
3. 경제/산업(Economy)영역의 트렌드 및 화장품시장 영향
4. 생태환경(Ecology)영역의 트렌드 및 화장품시장 영향
5. 정치/법규(Political/Legal)영역의 트렌드 및 화장품시장 영향
제2장 화장품 기술개발 동향
0. 화장품 기술개발 동향 구성 개요
1. 화장품 기술개발 동향 분석
1-1 화장품 기술개발 동향의 개관
1-2 피부과학 기초연구 관련 주요 트렌드 및 선진 기술동향
1-3 소재기술 관련 주요 트렌드 및 선진 기술동향
1-4 제형기술 관련 주요 트렌드 및 선진 기술동향
1-5 평가기술 관련 주요 트렌드 및 선진 기술동향
1-6 용기·용품기술 관련 주요 트렌드 및 선진 기술동향
1-7 기술융·복합화 관련 주요 트렌드 및 선진 기술동향
2. 화장품 주요 기술의 특허동향 분석
2.1 분석범위 및 분석대상 데이터
2.2 화장품 특허 출원 동향
2.3 화장품 부상하는 기술 도출
3. 화장품 기술동향에 대한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분석
3.1 설문조사 개요
3.2 화장품 기술 분야별 중요도 및 기술수준 평가
1) 대분류 전체 기술 분야별 비교
2) 중분류 전체 기술 분야별 비교
3) 소분류 기술 분야별 비교
3.3 화장품 시장 주요변화 및 기술에의 파급영향
1) 인구고령화에 따른 노화방지 및 시니어 케어 시장의 확대
2) 친환경 및 안전 이슈 강화로 천연 소재 및 화장품 수요 증가
3) 융복합 기술을 통한 신개념 화장품 수요 증가
4) 글로벌 시장진출의 기회 및 경쟁 강도 증가
5) 중국의 화장품 시장 영향력 증대
6) 판매대상 다양화 및 개인맞춤형 소비 증가
7) 감성 및 브랜드 소비 성향 증대
8) 가격, 고기능, 편의성 등 합리적 소비성향 증대
4. ‘화장품 기술개발 동향’분석 결과 정리
4.1 화장품 기술의 최신동향 분석
4.2 화장품 주요기술의 특허동향 분석
4.3 화장품 기술동향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제3장 화장품 기술개발 유망 테마
0. 중점연구영역 및 테마 도출
1. 중점 연구 영역 1 : 피부과학 원천기술 연구 영역
1.1 피부과학 원천기술 연구
1) 연구개발 필요성
2) 연구개발 방향
3) 세부 연구영역 및 테마
2. 중점 연구 영역 2 : 신소재개발 연구 영역
2.1 천연 및 합성 신소재 연구
1) 연구개발 필요성
2) 연구개발 방향
3) 세부 연구영역 및 테마
2.2 바이오 공정 신소재 합성 연구
1) 연구개발 필요성
2) 연구개발 방향
3) 세부 연구영역 및 테마
3. 중점 연구 영역 3 : 제품화 연구 영역
3.1 신제형기술연구
1) 연구개발 필요성
2) 연구개발 방향
3) 세부 연구영역 및 테마
3.2 글로벌 표준 평가기술 연구
1) 연구개발 필요성
2) 연구개발 방향
3) 세부 연구영역 및 테마
3.3 신기능 감성 디자인 용기·용품 연구
1) 연구개발 필요성
2) 연구개발 방향
3) 세부 연구영역 및 테마
4. 중점 연구 영역 4 : 융복합 연구 영역
4.1 미래 신기술 융합연구
1) 연구개발 필요성
2) 연구개발 방향
3) 세부 연구영역 및 테마
4.2 인접산업 융합연구
1) 연구개발 필요성
2) 연구개발 방향
3) 세부 연구영역 및 테마
<참고문헌>
[표목차]
<표 1-1> 주요 트렌드들과 화장품시장에 미치는 영향 정리
<표 1-2> 바이오유래 화장품소재 시장현황 및 전망
<표 1-3> 나고야의정서의 주요 내용
<표 2-1> 화장품에 사용되는 고분자 및 그 기능
<표 2-2> 특허 검색 범위
<표 2-3> 조사 대상 유효 특허 구성 건수
<표 2-4> 기술별 증가율·점유율
<표 2-5> 중분류 기준 증가율·점유율
<표 2-6> 특허기술 동향의 시사점 정리
<표 2-7> 전문가 조사 진행
<표 2-8> 응답자 특성
<표 2-9> 기술 분야별 중요도 및 기술수준 비교(중분류)
[그림목차]
[그림 1-1] 화장품 세계 시장 성장 추이 및 전망
[그림 1-2] 세계 항노화 산업 시장규모 전망
[그림 1-3] 국내 항노화 시장규모
[그림 1-4] 중국 국가별 화장품 수입 비중
[그림 2-1] 고감성 & 고기능 신제형 화장품 발전 동향
[그림 2-2] 피부의 일차적인 생리적 목적으로서 장벽기능
[그림 2-3] 피부노화 피부생물학적 변화과정의 관계 개념도
[그림 2-4] 전세계 화장품 주요원료의 투입 비중 (Personal Care)
[그림 2-5] HTS 기반의 초고속 스크리닝 기법
[그림 2-6] Lab on a chip의 모식도
[그림 2-7] 이소프레노이드계 기능성 화장품 소재 생산 세포공장 설계 개념
[그림 2-8] 계면활성제 분자의 자기조립화 과정
[그림 2-9] 초다공성 하이드로젤의 다양한 특성
[그림 2-10] 2차 평면배양과 3차 배양기술
[그림 2-11] 필립스의 안티에이징 미용기기 키트 ReAura
[그림 2-12] skin prebiotics 개념도
[그림 2-13] 국가별-연도별 출원 동향
[그림 2-14] 상위 다출원인의 국가별 출원분포
[그림 2-15] 국가별-중분류별 출원동향
[그림 2-16] 중분류별-연도별 출원점유율 동향
[그림 2-17] 소분류별 출원점유율
[그림 2-18] 세부기술별 증가율-점유율 Matrix
[그림 2-19] 중분류 (AA, AB, AC) 기술별 증가율-점유율 Matrix
[그림 2-20] 중분류 (AD) 기술별 증가율-점유율 Matrix
[그림 2-21] 중분류 (AE) 기술별 증가율-점유율 Matrix
[그림 2-22] 전문가 조사 기획 및 수행 절차
[그림 2-23] 설문의 구성체계
[그림 2-24] 기술 분야별 중요도 및 기술수준 비교 (대분류)
[그림 2-25] 기술 분야별 중요도 및 기술수준 비교 (중분류)
[그림 2-26] 피부기초 기술 분야 내(內) 중요도 및 기술수준 비교
[그림 2-27] 소재 기술 분야 내(內) 중요도 및 기술수준 비교
[그림 2-28] 제형기술 분야 내(內) 중요도 및 기술수준 비교
[그림 2-29] 평가기술 분야 내(內) 중요도 및 기술수준 비교
[그림 2-30] 용기∙용품기술 분야 내(內) 중요도 및 기술수준 비교
[그림 2-31] 융복합 기술 분야 내(內) 중요도 및 기술수준 비교
[그림 3-1] 화장품연구 분야의 영역맵(Domain Map) 작성결과
[그림 3-2] 화장품연구 분야의 영역맵을 활용한 중점연구영역 식별
[그림 3-3] 중점 연구 영역 및 연구테마 도출결과
[그림 3-4] 중점 연구 영역 1 (피부과학 원천기술 연구 영역)의 구성
[그림 3-5] 기술 분야별 중요도 및 기술수준 비교 (대분류)
[그림 3-6] 중점 연구 영역 2 (신소재 개발 연구 영역)의 구성
[그림 3-7] 소재 기술 분야內 중요도 및 기술수준 비교
[그림 3-8] 소재 기술 분야內 중요도 및 기술수준 비교
[그림 3-9] 중점 연구 영역 3 (제품화 연구 영역)의 구성
[그림 3-10] 제형기술 분야 내(內) 중요도 및 기술수준 비교
[그림 3-11] 평가기술 분야 내(內) 중요도 및 기술수준 비교
[그림 3-12] 용기∙용품기술 분야 내(內) 중요도 및 기술수준 비교
[그림 3-13] 중점 연구 영역 4 (융복합 연구 영역)의 구성
[그림 3-14] 기술 분야별 중요도 및 기술수준 비교 (대분류)
[그림 3-15] 융·복합 기반기술 분야 내(內) 중요도 및 기술수준 비교
■ 자자 소개 : 윤한술
한국과학기술정책플랫폼협동조합(KSPP) 이사, 한양대학교 경영학1984년 2월, 한양대학교 경영학(마케팅) 석사 1999년 2월, 성균관대학교 경영학(마케팅) 박사 2007년 2월, 한국과학기술정책플랫폼협동조합 이사 2018년 8월~현재, 트리마란 컨설팅파트너 2018년 4월~현재, 신용보증기금(KODIT) 경영지원단 컨설팅위원 2010년 6월~현재, (주)실전전략연구소 대표이사 2009년 7월~2018년 3월, (주)기술과가치 SIM센터장 이사 2008년 5원~2009년 7월, 삼성경제연구소 경영전략실 수석연구원 1990년 10월~2008년 5, LG전자 감사실 과장 1984년 1월~1990년 9월,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원, 국정관리대학원 겸임교수/강사 2007년 9월~2013년 8월, 한국발명진흥회 중앙인사위 위원 2016년~2018년, 삼성서울병원 경영혁신 프로젝트 자문 2015년 3월~2015년 7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경영자문 2011년 9월~2012년 9월 한국생산성본부 PMS 심사위원 2010년 3월~2012년 11월, 한국표준협회 수석전문위원 2012년 1월~2013년 12월
* 연구 및 컨설팅 과제 수행 실적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KRISO) 중장기경영계획수립, 2017
화장품 R&D 투자방향 및 사업기획 연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6
기술경영전문인력양성사업 성과분석 및 인력수요조사 연구용역,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6
청정제조기반구축사업 성과분석을 위한 연구용역, KIAT, 2016
과학분야 노벨상에 대한 국민과학기술정서 분석, 미래부, 2016
산업별 수급통계 및 이슈분석,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5
국민과학기술정서 분석을 통한 정책과제 발굴 연구, 미래부, 2015
(가칭)경기북부 폴리텍 운영모델 개발에 대한 연구, 한국폴리텍대학, 2015
경기도 전략산업 육성방안, 경기연구원, 2015
지진·지진해일·화산업무 발전계획, 기상청, 2015
소청초 종합해양과학기지 활용방안 연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5
지역 지식재산 창출 지원사업 성과분석, 한국발명진흥회(KIPA), 2014
가칭 “밀양폴리텍대학"설립 타당성에 관한 연구, 한국폴리텍대학, 2014
한양대학교 행정혁신 추진 지도(2009.7~2014.7)
토양지하수 산업육성 기본계획 수립 연구,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014
미래연구(기술예측조사) 방법론 개발,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4
지역지식재산창출지원사업 성과도 조사, 한국발명진흥회(KIPA), 2014
산업기술분야 미래유망직업 분석,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2013
산업기술 정보화 및 정책지원사업 성과분석,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3
대기업 연계 중소기업 인력양성 모델수립에 대한 연구, KIAT, 2013
한국 산업기술사(경공업 및 토목건축산업군) 조사 연구,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3
지역지식재산창출지원사업 성과도 조사, 한국발명진흥회, 2012
한국산업기술사조사 연구 ,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2012
비전 및 중장기 수립, 예술의전당, 2012
창의경영 실현을 위한 중기 실행계획수립,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1
전략경영지수 및 창의혁신지수 개발 및 측정, 인천항만공사, 2011
상지대학교, ‘중장기 적정규모에 대한 컨설팅’, (2011)
창의경영지수(CMI) 개발, 실전전략연구소, 2010
기술경영인력 수요조사 및 배출인력 산업체 기여도 조사, KIAT, 2011
독도연구의 가치평가 및 연구체계 개선 방안, 한국해양연구원, 2011
국내 시험인증시장 분석 및 시험인증시장 확대에 따른 대응전략 수립,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 2011
국내 인증산업(시험인증기관) 실태조사, 산업연구원(KIET), 2011
제주국제해양과학연구·지원센터 건립 타당성 기획, 한국해양연구원, 2010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취업역량강화 방안’(2010)
중장기 성장전략 수립, 두림로보틱스, 2010
발전방향 재정립 및 조직 재설계, 한국해양연구원(KORDI), 2009
숙명여자대학교, ‘비전 및 중장기 발전전략수립’(2009)
정부출연연구소 연구원 종합의식조사, 기초기술연구회, 2009
부처별 임의인증제도 개선 추진 전략 수립 연구, 기술표준원, 2008
성균관대학교 행정혁신 추진 지도(2005.11~2007.11)
공주대학교, ‘종합진단 및 경영혁신계획 수립’(2007)
6시그마경영혁신 1,2차 컨설팅, IMK, 2005~2006
6시그마경영혁신 1,2차 컨설팅, 삼성화재, 2003~2005
6시그마경영혁신 컨설팅, 에스원, 2003
6시그마경영혁신 컨설팅, 삼성네트웍스, 2003
철도운영회사의 경영체제구축 실행방안, 철도청, 2002
직업훈련의 비전 및 발전전략, 노동부, 2001
조직 및 인사제도 개혁, 삼성생명, 2001
조직재설계-컴퍼니제 도입을 중심으로, 삼성전기, 2000
중기 성장전략, 에스원, 2000
조직 및 인사제도 혁신, 한국지역난방공사, 1999
구조조정 방안, 삼성종합기술원, 1998
중장기 발전전략, 한국산업단지공단, 1998
국내영업본부 조직재설계, 삼성전자, 1997
디스플레이사업부 21세기 일류화전략, 삼성전자, 1997
비전 및 중장기 전략, 삼성상용차, 1997
자동차보상부문 프로세스 및 조직 재설계, 삼성화재, 1996
사무생산성 향상 및 프로세스혁신 컨설팅, 대구은행, 1995~1997
다이나믹 경쟁전략(DynaSOS)연구, 삼성경제연구소, 1995
중장기 발전전략, 농수산물유통공사, 1995
조직전략, 삼성화재, 1995
BPR 컨설팅 매뉴얼 개발, 삼성경제연구소, 1993등
* 강의 및 논문 실적
연구 논문 실적
기술경영 인력수요 및 배출인력 산업체 기여도 조사, 기술경영경제학회, 2011 추계학술대회
기업의 6시그마 활동이 소비자기반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학 연구 』, 한국소비자학회, 제18권 제4호, 2007. 12.
기업의 6시그마 활동이 브랜드 자산 구성요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6.12.
생활양식에 의한 시장 세분화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8. 12.
* 강의 실적
성균관대학교 2013. 1학기 : ‘변화관리’ 국정관리대학원, 2012. 1학기 : ‘변화관리’ 국정관리대학원, 2011. 2학기 : ‘마케팅믹스론’, ‘브랜드전략론’, 경영대학원, 2011. 1학기 : ‘마케팅믹스론’, 경영대학원, ‘변화관리’ 국정관리대학원, 2010. 2학기 : ‘마케팅믹스론’, 경영대학, 2010. 1학기 : ‘소비자행동론’, 경영대학원, ‘변화관리’ 국정관리대학원, 2009. 2학기 : ‘마케팅관리론’ 경영대학원, ‘마케팅믹스론’ 경영대학원, 2009. 1학기 : ‘변화관리’ 국정관리대학원, 2008. 2학기 : ‘마케팅믹스론’ 경영대학원, 2008. 1학기 : ‘디자인과 비즈니스’ 디자인대학원 ‘변화관리’ 국정관리대학원, 2007. 2학기 : ‘소비자행동론’, 경영대학원
숭실대학교 2008. 1학기 : ‘경영전략’, 대학원
기업 및 공공부문 교육
- 행자부 행정능률향상과정- 프로세스(BPR) 및 사무생산성혁신(1993~1997)
- 행정혁신- 전북교육청, 춘천시청, 평택시청 등
- 경영전략- 삼성화재, 호텔신라, 삼성전기 등
* 저술, 기타 실적
경기도 전략산업 육성방안: 일자리 창출을 중심으로, 공저, 경기연구원, 2015
전문가가 들려주는 산업기술 직업 이야기 “너의 꿈이 뭐니?”, 공저, 산업통상자원부/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3
성공한 경영혁신 사례집 “날기 위해 벗어야 한다”, 공저, 삼성경제연구소, 1996
“21세기를 위한 전략경영과정(전 4권)” 번역 감수 및 부분 저술, 한국표준협회, 1994 등